Project Dialogue Vol.3: Definition of Botong-Nowhere Man (2017)

The Nowhere Man series(2017-2018) reproduced the play Definition of Botong
'노웨어 맨' 시리즈(2017~2018): 희곡 '보통의 정의' 희곡을 활용한 공연

 

IMG_0005.jpg

Nowhere Man, 2017, 30분, 퍼포먼스, text(희곡'보통의 정의), 3채널 영사기, 디스위켄드룸

Nowhere Man, 2017, 30min, performance, text(play Definition og Botong), 3chennel Kodak projectors, This Weekend Room (KR)
안무, 움직임 Movement and Performer: 손지민 Son Ji-min


'Project 대화 Vol.2-보통의 정의'는 한국 사회의 최소한의 기준인 '보통'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제작한 자가심리 테스트 형시의 '보통검사'를 2013~2017까지 한국, 영국, 벨기에, 스페인, 네덜란드에서 3.000여명의 사람들이 참여했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설치, 조각, 개념, 영상, 사진 그리고 출판작업으로 발표해 왔다. 

2013년에 처음 설문 조사를 시작한 시점에서 부터(13회 송은미술대상전) 그를 작가의 해석을 가미한 개인전  Now Here is Nowhere (2016)에서 한국인들의 불안을 주목했고,

그간 수집한 설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언어 연구가이자 개념미술가엔 태이에게 시집 '통섭'을 의뢰했다. 그리고 나는 그 답변을 가지고 희곡 '보통의 정의'로 재구성했다. 

 

Project Dialogue Vol.2- Definition of Botong is a study on 'Botong', the minimum standard of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about 3,000 people from Korea, England, Belgium, Spain, and the Netherlands participated in the self-psychological test type Botong Test from 2013 to 2017 and based on the contents, various installations, sculptures, concepts, videos, and photos  and it has been announced as a publication work.

From the beginning of the survey in 2013 (13th Songeun Art Awards), artist Park paid attention to the anxiety of Koreans in Now Here is Nowhere (2016), a solo exhibition.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so far, Park commissioned a poetry collection, Island of Botong, from Taei, a language researcher and conceptual artist.  And I reconstructed the play Definition of Botong with the answer.

 

Performances Nowhere Man

IMG_9987.jpg

 

IMG_0001.jpg


IMG_0024.jpg

희곡의 대사를 3대의 스크린에 릴레이 교차로 투사하고, 그 문장에 따라 퍼포머가 즉흥적으로 움직임을 선보였다. 
The lines of the play were relayed onto three screens, and the performer improvised movements according to the sentences that appeared.

 

IMG_0042.jpgPerformance Live View


Outdoor Performance, Sinheung Public Art Studio's rooftop (2017)

 

DSC8487.jpg

Nowhere Man, 2017, 퍼포먼스 녹화실황, 27분, 싱글 채널 영상, 신흥동공공예술창작소(성남)
Nowhere Man, 2017, Live performance recording, 27min, single video, Sinheung Public Art Studio(Seongnam, Gyeonggi)

 

DSC8704.jpg


Reading Lab This Weekend Room (KR)

DSC5836.jpg

낭독회, 2017, 환등기, 디졸브, 각종 오브제, 희곡, 마이크, 스피커_가변크기 (디자이너 이동영 협업작업, 디스위켄드룸(서울)
Reading Lab, 2017, slide projector, dissolve, various objects, play script, microphone, speaker,variable dimensions, 
This Weekend Room (KR)

*낭독집 디자인 Reading Script Design: 이동영 Lee Dong-young(Designer)

 

설문 '보통검사'의 답변내용을 바탕으로 희곡으로 씌여진 작품은 이후,  일반인들과 함께하는 '리딩룸' (2017)과 같은 교육프로그램과, 전시장에서도 관객들이 희곡을 자신의 목소리로 낭독할 수 있도록 설치 작품 형태로 발표됐다.
 

The work written as a play based on the answers of the 'Botong Test' was later used in educational programs with the general public, such as Reading Lab (2017),  and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an installation work, and even in a gallery, the audience could read the play with their own voice. 

 

DSC5946.jpg

보통의 정의, 2017, 종이위에 c-프린트 (디자인: 이동영)

Definition of Botong, 2017, c-print on paper (design by Lee Dong-young)
 

* 이번 희곡은 '보통' 프로젝트의 마지막 작품인 Voice Theater(2018)와 The Voice(2018)에서 배우들을 통해 연기됐다. 

Publication) 낭독집 '보통의 정의', 2017, 갖고싶은책, 디자인: 이동영 More>> ▶
*This play was played by actors in Voice Theater(2018) and The Voice(2018), the last works of the Botong  project.


Performances and Movie

05A8422.jpg

Voice Theater, 2018, 8채널 스피커, 사운드, 의자, 가변크기
Voice Theater, 2018, 8-channel speaker, sound, chair, variable dimensions

(photo by:  김상태 Kim Sang-tae): Gyeonggi MoMA
 

20181209_193407 복사.jpg


2013년에서 2018년까지 3,000여명에게서 진행한 설문 '보통 검사'는 관객이 스스로 생각하는 ‘보통’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자신은 얼마나 그에 해당되는지 살펴보는 자가 테스트형 심리테스트로 프로젝트 ‘대화’ Vol.3- 보통의 정의'의 주요 내용이 되었다.
이번 사운드 작업의 내용인 희곡 ‘보통의 정의’는 1,000여명의 사람들이 ‘보통’에 대해 정의한 설문의 주관식 답변을 박혜수 작가가 재구성하였다.
작품은 8명의 연극배우가 희곡의 프롤로그와 1,2 장을 보이스 드라마로 연기하고 이를 160석 규모의 소극장 무대에 8채널의 스피커로 분산되어 재생한다. ‘보통’이 될 수 없는, ‘보통’과 흡사한 8명의 인물들끼리 ‘보통’이 무엇인지, 누구인지 다투는 대화의 무대에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이 연극에 한 인물로 개입하며 작가가 던지는 질문을 생각하게 된다.
‘당신은 보통 사람인가.’

 

Based on a survey of 3,000 people conducted from 2013 to 2018, the Botong Test is a self-assessment psychological test in which participants set their own standards for what they consider “Botong” (normality) and examine how well they fit those standards. This test became the main component of Project Dialogue Vol. 3: Definition of Botong.

For the play Definition of Botong, which forms the basis of this sound work, artist Park reconstructed subjective responses from a questionnaire in which about 1,000 people defined what “Botong” means to them. In the work, eight actors perform the prologue and chapters 1 and 2 of the play as a voice drama, which is distributed and played through eight-channel speakers on the stage of a small, 160-seat theater.

On stage, eight characters—each similar to “Botong,” yet unable to truly be “Botong”—engage in conversation. The audience naturally becomes part of the play as a character themselves, reflecting on the questions posed by the author.

'Are you Botong?'

 

05A7774.jpg

Voice 편집 및 구성 : 정승완
Voice 녹음: 정혜수 

Voice: 신동준, 박선혜, 박문지, 김준우, 진영선, 최우석, 이초연, 강대진 (배우)
Voice editing and composition: Jung Seung-wan
Voice Recording: Jung Hye-soo
Voice Acting: Shin Dong-jun, Park Seon-hye, Park Moon-ji, Kim Jun-woo, Jin Young-seon, Choi Wooseok, Lee Cho-yeon, Kang Dae-jin

 

Gyeonggi MoMA View (2018)
 

The Voice_prores422HQ[(000420)2018-12-12-01-12-29].jpgThe Voice, 2018, single video, 13:00

 

The Voice_H264.mov_snapshot_05.35_[2023.05.23_01.35.18].jpg


작가는 이 이야기를 농인 배우 오서진씨에게 연기를 부탁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남들과 다르다는 것은 곧 보통이 아니라는 의미이자 자신들 또한 다른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매순간 증명해야하는 이들이기 때문이다.

희곡 '보통의 정의'는 총 3장으로 구성된다. 그 중 1,2 장은 '보통검사'에서 '보통'에 대한 주관식 답변 1000명의 답변을 작가가 재구성한 것이라면,  3장 독백은 작가 박혜수가 생각하는 '보통'에 대한 이야기이다. 
 

Park invited deaf actor Oh Seo-jin to perform in this play. She though that, in Korean society, being different from others is seen as not being “Botong” (normality), an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constantly required to prove their normalcy, even though their bodies are simply different.

The play, Definition of Botong,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s 1 and 2 are reconstructed from the 1,000 subjective responses to “Botong” collected through the Botong Test, while the monologue in chapter 3 presents artist Hye-soo’s personal reflections on what “Botong” means to her.

 


* If it does not play, you can watch it on YouTube

Actress: 오서진 Oh Seo-jin

Camera & Editing: 이병기 Byung-ki

Director: 박혜수 Park Hye-soo

 

05A8468.jpg

Botong Test (1000), Gyeonggi MoMA

 

이 게시물을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